여자 생식기 가려움증 원인 6가지 – 성병인가요?

여자 생식기 가려움증 원인, 여자 생식기 가려움증 치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성의 성기 부근이 가려운 것은 매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성의 생식기 구조는 외부에 노출된 부분(외음부)과 내부의 질, 자궁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 자극과 감염에 상대적으로 취약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가려움 원인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목차
  1. 여자 생식기 가려움증 원인
  2. 여자 생식기 가려움증 치료 방법



1. 여자 생식기 가려움증 원인


여자 생식기 가려움증 원인



1.1 감염성 원인
1.1.1 칸디다증(질 칸디다증)
여성의 생식기 부위의 털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과도한 습기와 열을 가두어 세균 및 곰팡이의 증식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칸디다증이나 세균성 질염 등의 감염 위험을 증가시켜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원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라는 곰팡이균에 의한 감염입니다. 칸디다균은 정상적으로도 질 내에 존재하지만, 면역력 저하, 항생제 사용, 호르몬 변화 등으로 인해 균형이 깨지면서 과도하게 증식할 수 있습니다.

증상: 칸디다증은 주로 백색의 두꺼운 치즈 같은 질 분비물과 함께 심한 가려움증, 발적, 부종, 그리고 성교 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특히 밤에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위험 요인: 임신, 당뇨병, 면역 저하 상태, 항생제나 스테로이드의 장기 사용 등이 칸디다증의 발생 위험을 높입니다. 또한, 지나치게 꽉 끼는 옷이나 통기성이 좋지 않은 속옷을 입는 것도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1.1.2 세균성 질염
원인: 세균성 질염은 질 내 정상 세균군의 불균형으로 인해 주로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 등의 혐기성 세균이 과도하게 증식하는 것이 원인입니다. 정상적으로는 락토바실리(젖산균)이 주를 이루어 질 내 pH를 산성으로 유지하여 세균 증식을 억제하지만, 균형이 깨지면 혐기성 세균이 증식하게 됩니다.

증상: 회색 또는 흰색의 악취 나는 질 분비물, 가려움증, 배뇨 시 통증 등이 나타납니다. 특히 생리 후나 성교 후에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위험 요인: 새로운 성 파트너, 다수의 성 파트너, 질 세척 등이 세균성 질염의 위험을 높입니다. 또한, 흡연도 질염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1.3 성병(STIs)
클라미디아(Chlamydia)
원인: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Chlamydia trachomatis)라는 세균에 의해 감염됩니다. 이는 성관계를 통해 전파됩니다.

증상: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증상이 나타날 경우 가려움증, 배뇨 시 통증, 비정상적인 질 분비물, 복부 통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치료 없이 방치하면 골반염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위험 요인: 다수의 성 파트너, 콘돔 사용하지 않는 성관계 등이 위험 요인입니다.


임질(Gonorrhea)
원인: 네이세리아 고노레아(Neisseria gonorrhoeae)라는 세균에 의해 감염됩니다. 이는 성관계를 통해 전파됩니다.

증상: 배뇨 시 통증, 질 분비물 증가, 가려움증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골반 통증, 출혈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하지 않으면 불임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위험 요인: 다수의 성 파트너, 콘돔 사용하지 않는 성관계 등이 위험 요인입니다.


트리코모나스증(Trichomoniasis)
원인: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richomonas vaginalis)라는 기생충에 의해 감염됩니다. 이는 성관계를 통해 전파됩니다.

증상: 악취가 나는 황록색의 거품 같은 질 분비물, 심한 가려움증, 발적, 배뇨 시 통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위험 요인: 다수의 성 파트너, 콘돔 사용하지 않는 성관계 등이 위험 요인입니다.


1.2 비감염성 원인
1.2.1 알레르기 반응
원인: 비누, 바디 제품, 생리대, 탐폰, 콘돔, 향수 등의 화학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들 제품에 포함된 향료, 방부제, 색소 등이 피부 자극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증상: 가려움증, 발적, 부종, 따끔거림, 피부 발진 등이 나타납니다. 심한 경우 물집이나 궤양이 생길 수 있습니다.


1.2.2 호르몬 변화
원인: 폐경기, 임신, 생리 주기 등으로 인한 에스트로겐 등의 호르몬 변화가 질 점막의 건조와 얇아짐을 유발하여 가려움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폐경기 여성의 경우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해 질 벽이 얇아지고 건조해지며, 이로 인해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약화됩니다.

증상: 건조증, 가려움증, 성교통, 질 점막의 위축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폐경기 이후 여성에게 흔히 발생합니다.


1.2.3 피부 질환
습진(Eczema)
원인: 피부의 염증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며, 알레르기나 자극물질에 의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습진은 피부 장벽 기능이 손상되어 외부 자극에 민감해집니다.

증상: 가려움증, 발적, 피부 건조 및 갈라짐, 물집 등이 나타납니다.

건선(Psoriasis):
원인: 면역계의 이상 반응으로 인해 피부 세포의 과도한 증식이 발생합니다. 이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증상: 두꺼운 은백색의 각질이 형성되며, 가려움증과 발적이 동반됩니다. 주로 팔꿈치, 무릎, 두피 등에 나타나지만, 생식기 부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생식기 가려움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원인에 따라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이 심하다면, 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정확한 진단을 위해 의사와 상담하고 필요한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근처 산부인과 알아보기


2. 여자 생식기 가려움증 치료 방법


2.1 감염성 원인의 치료
2.1.1 항진균제
질 칸디다증의 경우 항진균제가 주요 치료법입니다. 항진균제는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와 같은 곰팡이균을 제거하는 약물입니다.

경구용 항진균제: 플루코나졸(Fluconazole)과 같은 약물이 대표적입니다. 보통 단일 용량으로 투여되며, 심한 경우 며칠 간격으로 추가 용량을 복용하기도 합니다.

국소용 항진균제: 클로트리마졸(Clotrimazole), 미코나졸(Miconazole) 등의 질 크림이나 질 좌약이 사용됩니다. 보통 3일에서 7일 동안 사용합니다.

치료 후 관리: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면 속옷을 착용하고, 항생제 사용 시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2.1.2 항생제
세균성 질염 및 일부 성병의 경우 항생제가 필요합니다.
세균성 질염: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이나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이 주로 사용됩니다. 메트로니다졸은 경구용이나 국소용 젤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클린다마이신은 주로 크림 연고 형태로 사용됩니다.

클라미디아 감염: 아지스로마이신(Azithromycin)이나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이 주로 처방됩니다. 아지스로마이신은 단일 용량으로 투여되며, 독시사이클린은 보통 7일 동안 복용합니다.

임질: 세프트리아손(Ceftriaxone)과 아지스로마이신의 병용 요법이 권장됩니다. 세프트리아손은 주사 형태로 투여됩니다.

치료 후 관리: 치료 기간 동안 성관계를 피하고, 증상이 없어졌더라도 의사의 지시에 따라 약물을 끝까지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파트너도 함께 치료를 받아야 재감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2.1.3 항바이러스제
헤르페스 감염의 경우 항바이러스제가 사용됩니다. 이는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여 증상을 완화하고 재발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항바이러스제: 아시클로버(Acyclovir), 발라사이클로버(Valacyclovir), 팜시클로버(Famciclovir)가 주로 사용됩니다. 초기 감염 시에는 고용량으로, 재발 시에는 저용량으로 투여됩니다.

치료 후 관리: 스트레스 관리, 면역력 유지, 트리거 요인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2 비감염성 원인의 치료
2.2.1 항히스타민제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한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 수용체를 차단하여 가려움증과 염증을 줄입니다.

경구용 항히스타민제: 로라타딘(Loratadine), 세티리진(Cetirizine), 디펜히드라민(Diphenhydramine) 등이 있으며, 주로 저녁에 복용하여 밤에 가려움증을 완화합니다.

국소용 항히스타민제: 디펜히드라민 크림 등이 있으며, 직접적으로 가려운 부위에 바를 수 있습니다.

치료 후 관리: 알레르기 유발 요인을 피하고,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2.2 국소 스테로이드 크림
피부 염증을 줄이고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스테로이드는 염증 반응을 억제하여 증상을 신속하게 완화시킵니다.

약한 스테로이드 크림: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크림이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부작용이 적어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강한 스테로이드 크림: 베타메타손(Betamethasone)이나 클로베타솔(Clobetasol) 등의 강한 스테로이드가 필요할 경우 의사의 처방에 따라 사용됩니다.

치료 후 관리: 장기간 사용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사용해야 합니다. 사용 후에는 피부를 충분히 보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2.3 보습제와 진정제
피부 건조증과 자극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보습제는 피부 장벽을 강화하고 수분을 유지시켜 가려움증을 줄입니다.

보습제: 유레아(Urea), 글리세린(Glyceri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등이 포함된 제품이 좋습니다. 무향, 무색소, 저자극성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진정제: 카모마일(Chamomile), 알로에 베라(Aloe Vera) 등의 성분이 포함된 제품은 피부를 진정시키고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치료 후 관리: 매일 규칙적으로 보습제를 바르고, 자극을 줄 수 있는 제품이나 환경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2.4 호르몬 대체 요법
폐경기로 인한 호르몬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가려움증과 건조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호르몬 대체 요법은 에스트로겐 등의 호르몬을 보충하여 질 점막을 건강하게 유지합니다.

에스트로겐 크림: 국소용 에스트로겐 크림이나 질정 형태로 사용됩니다. 이는 질 점막을 두껍게 하고, 건조증과 가려움증을 완화합니다.

경구용 호르몬제: 필요한 경우 의사의 처방에 따라 경구용 호르몬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

치료 후 관리: 정기적인 의사 방문을 통해 호르몬 수치를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2.5 면역억제제
중증 피부 질환이나 만성 염증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면역억제제는 면역 반응을 조절하여 염증을 억제합니다.

타크로리무스(Tacrolimus): 국소용 면역억제제로, 염증과 가려움증을 줄이는 데 사용됩니다.

시클로스포린(Cyclosporine): 중증의 경우 경구용 면역억제제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치료 후 관리: 면역억제제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사용하고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2.2.6 종합적인 관리 및 예방 방법
생식기 가려움증의 치료와 함께 종합적인 관리와 예방도 중요합니다.

위생 관리: 생식기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과도한 세정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순한 비누를 사용하고, 따뜻한 물로 부드럽게 세정합니다.
적절한 의류 선택: 통기성이 좋은 면 속옷을 착용하고, 꽉 끼는 옷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합성 섬유보다는 천연 섬유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성생활 관리: 성교 후 청결을 유지하고, 콘돔을 사용하여 성병을 예방합니다. 정기적인 성병 검진도 필요합니다.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면역력을 저하시켜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균형 잡힌 식단: 영양소가 균형 잡힌 식사를 하고,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여 장내 유익균을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규칙적인 운동: 운동은 면역력을 강화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소리 주의) 외음부 가려움증 해결 방법 알아보기


관련 글

Leave a Comment